Kez 의 블로그

Kotlin in Action 2판 14장 코루틴과 플로우를 활용한 동시성 프로그래밍

14장 코루틴과 플로우를 활용한 동시성 프로그래밍 이 장에서 다루는 내용 코루틴 빌더 Dispatcher(디스패처) 14.6 코루틴의 세계로 들어가기: 코루틴 빌더 코루틴의 명확한 정의: 코루틴은 일시 중단 가능한 계산의 인스턴스로 다른 코루틴들과 동시에(혹은 심지어 병렬로)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블록 코루틴을 생성할 때 코...

Kotlin in Action 2판 14장 코루틴과 플로우를 활용한 동시성 프로그래밍

14장 코루틴과 플로우를 활용한 동시성 프로그래밍 이 장에서 다루는 내용 동시성·병렬성 개념 일시중단 함수 코루틴과 기존 동시성 모델(콜백, 퓨처, 리액티브)과의 비교 코루틴 호출 구조 14.1 동시성과 병렬성 동시성: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. 반드시 물리적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, 하나의 코어에서도 작...

Kotlin in Action 2판 12장 어노테이션과 리플렉션

12장 어노테이션과 리플렉션 이 장에서 다루는 주제 어노테이션을 선언하고 적용하는 방법 커스텀 어노테이션과 메타어노테이션의 구조와 활용 선언에 메타데이터를 추가해 런타임/컴파일러/IDE/외부 도구에서 정보로 활용하는 방법 리플렉션(reflection)을 통해 런타임에 클래스·프로퍼티·함수·어노...

Kotlin in Action 2판 10장 고차 함수 람다를 파라미터와 반환값으로 사용

Kotlin In Action 2판 정리 - 10장 고차 함수 10 고차 함수: 람다를 파라미터와 반환값으로 사용 함수 타입 고차 함수로 코드 구조화 인라인 함수 비로컬 return과 레이블 익명 함수 10장은 고차 함수 만들기와 인라인 함수 최적화 설명함. 10.1 고차 함수: 다른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반환하는 함수...

Kotlin in Action 2판 9장 연산자 오버로딩과 다른 관례

9장 연산자 오버로딩과 다른 관례 코틀린에는 사용자가 정의한 함수를 언어 기능이 호출하는 관례(convention) 가 있는데 이를 통해 특정 이름을 가진 함수의 존재만으로 언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9 장에서 다루는 내용 연산자 오버로딩 관례 함수 이름과 동작 원리 위임 프로퍼티(Delegated Property) 9.1 ...

Kotlin in Action 2판 8장 기본 타입, 컬렉션, 배열

8장 코틀린 인 액션 2판: 8장 - 기본 타입, 컬렉션, 배열 Kotlin in Action 2판 정리 - 8장: 기본 타입, 컬렉션, 배열 8장에서 다루는 내용 원시 타입과 다른 기본 타입 및 자바 타입과의 관계 코틀린 컬렉션과 배열 및 이들의 널 가능성과 상호운용성 8.1 원시 타입과 기본 타입 코틀린은 Int, Boo...

Ktor 서버를 AWS Elastic Beanstalk을 활용하여 배포하는 방법

Ktor 서버를 AWS Elastic Beanstalk을 활용하여 배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. 오늘은 Kotlin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인 Ktor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AWS의 Elastic Beanstalk을 활용해 배포하는 방법을 기록해보고자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특히 Ktor의 실행 방식, 빌드 전략, Fat JAR의 개념, 그리고 AW...